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tWE6iD/CVnClzb2d8Rd3 Qve6Y3xIbBtmIOQ3T1+otEPfAhhOHOYqh4D6MaSUXeuy4e8U1Wg0O6fxA6fnWsF/ yXQJcHBaQl/ZSzzUFyOOB/BCwbQhaXF8hUZBNJEnSD0v9uEuCHgXDQxX+zFh7iUF 1JMnKoyHEKiEbTDmTzgYF14TscGuA26HNjAzdnHMcaQMgrmffDCSocOxkEgKJWHg U4/wQ3tyXmkBMAcZ7ZWNJ549kKdIos2j+kK3CpC6gV/8J78qGE7dShd3UTzb4jwT tzz7Lp70nxY6Gw/SqNT1QeDYxYU2aaq4LZ55VXZt70gqOV+IS80XqNRjJVozh/Q6 figQSh7lCASQ4zhErVjL2gedqxaNDYVFOzaZLuV2WEgoa0bwHy1Ir/doh+J3T4Mp +m2D9lQZzwMmrIUHIaO0dhcupkIE4XQFjk8mzFD/rp6JLBWKgAVL1/BLxdnWXfb/ NEHK1hAViTrOFq1Ea/xLn668I1mhcXWtyPFgK7N7XYk1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항문에 발생하는 질환을 소개해 드립니다.
![]() |
변비, 저섬유질 식품 : 배변시 생기는 압력에 의해 점막의 울혈과 지지인대의 신장이 일어나는데 단단한 변으로 인해 배출의 어려움이 있을 시 이로 인한 과부하가 발생 |
![]() |
설사 : 변을 보는 횟수의 증가로 인해 항문 조직이 하강되어 치핵 발생의 위험성이 증가 |
![]() |
임신 : 임신 중 복압의 증가와 항문정맥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치핵 발생의 위험성 증가 |
![]() |
음주 |
![]() |
과도한 운동 |
![]() |
직업적 요인 : 운전, 쪼그려 앉는 자세는 치핵이 발생하기 쉬움 |
내치핵분류 | 정도와 증상 | 치료 |
---|---|---|
1도 | 항문 밖으로 나오지 않으며 간헐적인 출혈만 있음 | 보존적 치료 |
2도 | 배변 시 탈출 후 자연환원됨. 출혈과 분비물, 잔변감 동반 | 보존적 치료와 수술고려 |
3도 | 배변 시 탈출 후 손으로 밀어 넣어야 들어감. 출혈, 분비물, 잔변감 심화 | 치핵 근치수술 |
4도 | 탈출되어 환원되지 않는 상태로 출혈, 부종, 통증이 심하여 혈전이 생김 | - |
외력에 의해 항문연에서 치상선 부위의 항문관이 찢어져 생기는 질환으로 배변 후 항문의 통증과 소량의 선홍색 출혈을 동반합니다.
대부분 딱딱하고 굵은 변이나 반복되는 설사에 의해 항문의 후방이나 전방부위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발생합니다.
병력과 직장수지검사, 항문경 검사를 통해 진단 할 수 있습니다.